커티스 에이씨텍

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우회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해외 사이트인 밍키넷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밍키넷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성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해외 서버를 통해 운영됩니다. 주된 컨텐츠로는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스포츠토토, 토렌트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밍키넷의 접속과 관련된 몇 가지 법적 이슈가 존재하는데요, 접속 방식과 법적 상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밍키넷이란?


밍키넷은 성인 전용 사이트로, 주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성인 컨텐츠를 제공합니다.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사이트는 HTTPS 주소를 통해 제공되며, 해외 서버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지만, 대한민국의 인터넷 규제 정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밍키넷 접속 방법


한때 밍키넷은 HTTPS 주소 덕분에 대한민국에서도 접속이 가능했으나, 2018년 이후 정부의 해외 불법 사이트 차단 정책에 따라 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접속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PC나 모바일에서 VPN이나 IP 우회를 통해 접속해야 합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구글 재팬 등을 경유해 접속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습니다.



3. 밍키넷은 합법일까?


해외에서는 밍키넷이 명백히 합법적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로 운영되고 있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 대한민국은 성인 포르노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HTTPS 차단 이후로는 밍키넷 역시 불법 사이트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VPN이나 우회 접속을 통해 사이트에 접근하는 경우 법적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밍키넷은 해외에서는 합법적으로 운영되는 성인 사이트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VPN을 통한 우회 접속이 필요하며, 이러한 접속 방식이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키워드: 밍키넷, 성인 사이트, 성인 컨텐츠, HTTPS 차단, VPN 접속, 포르노 규제, 성인 만화, 웹툰, 해외 서버, 대한민국 법, 우회 접속, 성인 동영상, 밍키넷 접속, 39

고급화(하이엔드) 주택 브랜드의 전성시대입니다. 특히 재건축·재개발 수주전에서 고급화 주택 브랜드의 위상을 알 수 있습니다. 고가 주택이 밀집한 강남권과 한강 주변으로는 고급화 주택 브랜드가 없다면 명함도 내밀 수 없다는 게 건설업계의 목소리입니다.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 건설사 중 고급화 주택 브랜드를 갖춘 건설사는 6곳입니다. 이들은 서울 고가 주택 재건축·재개발 일감을 따내기 위해 고급화 브랜드를 선보였고 서울 강남권 혹은 한강 변 재건축 아파트에 최초로 적용했습니다.



고급화 주택 브랜드 준공 실적/그래픽=비즈워치


바다이야기 pc용
강남서 시작된 고급 브랜드 역사
지금의 고급 주택 브랜드를 가장 먼저 적용한 건설사는 DL이앤씨입니다. 대림산업이던 시절부터 주상복합에 쓰던 '아크로(ACRO)'를 서울 서초구 신반포1차아파트, 강남구 경복아파트 재건축 사업 등에 달면서 고급화를 강조했습니다. 이 단지들은 각각 지금의 '아크로리버파크'와 '아크로힐스 논현'이 됐습니다삼호개발 주식

DL이앤씨가 이달까지 준공한 아크로 브랜드의 가구 수(고급 브랜드 전환 후 기준)는 경기도 안양 '아크로 베스티뉴(1011가구)'를 포함해 8개 단지, 6579가구입니다.
현대건설도 2015년 서초구 반포1동 삼호가든3차 재건축 사업 수주를 위해 고급화 브랜드 '디  에이치(The H)'를 내놓으며 시공권을 확보했습웰크론 주식
니다. 당시 대림산업(현 DL이앤씨), 롯데건설과 경쟁 끝에 따낸 사업이었습니다. 디에이치 브랜드를 단 단지의 전체 가구 수는 지금까지 1만1331가구에 달합니다.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개포주공1 재건축)'만 6702가구죠. 단지 수는 6개에 그칩니다.대우건설은 현재 고급화 브랜드 '써밋(SUMMIT)'의 전신인 '푸르지오 써밋파칭코사이트
'을 2014년 주상복합인 용산 푸르지오 써밋에 처음 적용했습니다. 이후 서초구 삼호1차 아파트 재건축 사업과 강남구 대치구마을 1구역 재건축 등에도 이 브랜드를 내세워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지금까지 7개의 단지에 써밋 브랜드를 적용해 총 8181가구를 공급했고요.
롯데건설도 2019년 고급화 브랜드 '르엘(LE-EL)'을 내놓은 후 강남조선관련주
구 대치동 구마을2지구재개발과 서초구 잠원동 반포우성 재건축 등에 적용해 각각 '대치르엘(271가구)'과 '반포르엘(596가구)'로 명명했습니다. 
르엘은 부산 해운대구에 있는 '르엘 리버파크센텀(2070가구)'를 제외하면 모두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 사업장에만 적용한 게 특징입니다. 이달 준공을 마치고 다음달 입주민을 받을 '청담 르엘'까지 포함해 총 5개 단지에 2740가구의 르엘 단지를 지었습니다.



청담 르엘 전경/사진=롯데건설


고급화도 '경력직' 선호? 
정비사업 경쟁이 치열해지자 비교적 늦게 고급화 브랜드를 내놓은 건설사도 있습니다. 포스코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입니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 2022년 7월 기존 주택 브랜드 '더샵' 외에 고급화 주택 브랜드 '오티에르(HAUTERRE)'를 선보였습니다. 브랜드 출시 이전에 시공권을 확보한 서울 서초구 신반포18차 재건축(오티에르 신반포) 신반포 21차 재건축(오티에르 반포)에 오티에르를 적용했습니다. 다만 각각 251가구, 182가구로 소규모입니다. 아직 준공 단지는 한 곳도 없고요.
SK에코플랜트도 '드파인(DE'FINE)'이라는 고급화 주택 브랜드를 2022년 8월에 선보였습니다. 오티에르와 마찬가지로 브랜드 존속 기간이 길지 않아 준공 실적이 미미합니다. SK에코플랜트의 유일한 드파인 준공 단지는 부산 해운대구 반여1-2구역 재개발을 통해 선보인 750가구의 '드파인 센텀'입니다.
최근 서울 여의도와 성수전략정비구역, 압구정현대를 포함한 강남 주요 정비사업지에서 신생 고급화 브랜드가 수주 경쟁을 자신하기 어려운 이유는 이 같은 준공 실적 때문입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재건축 조합원에게 브랜드 준공 단지를 보여주고 이 브랜드를 달았을 때 자산가치가 얼마나 올랐나 설명하는 게 조합원 표심을 효과적으로 공략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그는 "다만 후발 브랜드거나 강남권에 준공 실적이 적다면 이런 부분을 어필하기 어렵다. 서울 재건축·재개발 사업지에는 일종의 진입장벽이 생긴 셈"이라고도 말했습니다.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단지. /사진=김진수 기자


서울 한강 주변에만?…지방도 '하이엔드'
고급화 주택 브랜드를 따로 선보이지 않은 대표적인 건설사는 삼성물산과 GS건설입니다. 래미안과 자이 브랜드를 보유한 두 건설사는 별도의 고급화 주택 브랜드를 내놓지 않더라도 서울 강남권 재건축·재개발 시장에서 준공 실적이 충분하다는자신감입이 깔려 있습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하이엔드 브랜드는 자재·마감재 기준이 별도로 있고 수주할 때부터 그 브랜드를 내세우기 마련"이라면서도 "당사는 이런 사안과 무관하며, 래미안만의 고유한 정통성을 유지하려고 한다"고 말했어요.
조금 다른 경우도 있어요. 시공능력평가 6위의 현대엔지니어링은 현대건설이 보유한 고급화 주택 브랜드 '디에이치'를 아직 적용하는 게 어렵습니다. '디에이치'는 현대건설 내부 브랜드 적용 심의를 거쳐야 하는데 자회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이 이를 제안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고급화 주택 브랜드 전략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태생은 각 건설사가 고가주택이 밀집한 강남권과 한강 주변 단지의 재건축·재개발 사업 공략에 있었는데요. 그러나 최근엔 이런 지역적 제한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활황 기류와 맞물려서죠.
현대건설은 2022년부터 지방 광역시와 같은 수도권 외 재건축·재개발 사업에도 디에이치 브랜드 적용에 나섰습니다. 대전광역시 장대B구역 재개발이나 부산 우동3구역이 대표적입니다.  DL이앤씨도 서울 서대문구를 비롯해 한강 주변 외에 경기도 안양, 지방 광역시 중심으로 아크로 브랜드 적용을 확대했습니다. 
대우건설도 써밋 브랜드를 강남권에만 적용하지는 않습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노량진·흑석·한남·여의도·강남 등에서 써밋으로 수주한 단지들을 서울의 랜드마크 단지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부산에서도 선보였고요.
이에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외곽 지역이나 지방에서 재건축·재개발 일감을 따내던 중견 건설사의 불만도 나옵니다.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과거에는 서울에 많은 아파트를 지었는데 지금은 공사비를 저렴하게 제안해도 서울 정비사업 조합원이 쳐다보지도 않는다"면서 "지방에서도 대형 건설사 브랜드가 온다고 하면 조합원 표심이 바로 요동치고 입찰 일정을 일부러 미루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부동산 시장의 화두는 양극화를 넘어선 초양극화입니다. 고급화 주택 브랜드는 값비싼 내장재와 화려한 외관, 다양한 공동이용시설 등을 내세웁니다. 이에 따라 공사비도 오를 수 밖에 없으나 시세 차익에 대한 기대가 더 큽니다. ▷관련기사: [똘똘한 한 채 대해부]⑥신축의 진화, 재건축의 신화(8월6일)
가령 2020년 분양한 '르엘 신반포' 전용면적 84㎡의 분양가는 17억2100만원이었으나 올해 3월 동일면적(30층)이 36억원에 팔렸습니다. 5년 새 분양가 대비 2배 가까이 비싼 가격에 팔린 겁니다.
앞으로도 여의도와 압구정을 포함한 강남권, 성수전략정비구역 등 굵직한 사업지에서 시공사 선정에 나섭니다. 건설사는 해당 사업지의 상징성을 고려했을 때 고급화 브랜드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고요. 재건축·재개발의 고급화가 활황일수록 고가주택 밀집지와 아닌 곳의 가격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아크로 여의도 더원 현장/사진=윤도진 기자


 
정지수 (jisoo2393@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